라벨이 db인 게시물 표시

DBA 면접 질문

1. RDBMS 가 뭔가요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2.  정규화가 뭔가요 ?  데이터베이스 중복을 최소화하여( 무결성 등..) 데이터를 구조화 3.  각 정규형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1 차 , 2 차 , 3 차 등 ) - 1차: 모든 속성을 최소의 의미 단위로 분할 - 2차: 키가 아닌 속성(non key)이 완전하게 함수 종속 - 3차: 모든 속성은 UID에 직접 종속(이행 종속 제거) 4.  저장 프로시저는 무엇인가요 ? -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Trasact-SQL문을 데이터베이서에 저장한 개체 매번 비슷한  SQL문을 실행해야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서에 저장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개체 5.  트리거는 무엇인가요 ? - DBMS 기능의 하나로 테이블에 어떤 조작이 가해졌을 때 미리 지정해 놓은 처리를 자동으로 동작시킴 6.  뷰는 무엇인가요 ?  DBMS관리자가 임의로 유도하여 만든 테이블 ( 기본테이블에서 유도된 가상테이블) - 여러 사용자들에게 차등 대우,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가 간단, 데이터 은닉을 위한 자동보안 제공 7.  인덱스는 무엇인가요 ? -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빨리 찾을 수 있게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모아둔 개체(Object) 8.  클러스터드 인덱스와 넌클러스터드 인덱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 클러스터드 인덱스 = 인덱스의 순서대로 실제 레코드가 위치 ( 데이터의 물리적 정렬, Data가 leaf ) - 넌클러스터드 인덱스 =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정렬하지 않는 대신 위치정보를 인덱스로 구성( Index가 leaf) 9.  테이블에 설정될 수 있는 인덱스 형태들은 어떤 형태들이 있나요 ? - 클러스터드 인덱스, 넌클러스터드 인덱스 10.  커서는 무엇인가요 ? - 특정 행을 지정하여 각각의...

DBMS vs file system

이번 Posting에서는 DBMS와 file system에 대한 비교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file system  장점 빠르다. 비용이 들지 않는다.   단점 구조 변경 필요 시,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다시 만들어야한다. 응용프로그램에 한 개 또는 여러 file이 대응되기 때문에 복잡할 수 있다. 중복 데이터에 대한 제어가 어렵다. 다수 사용자들에 대한 동시성 제어가 제공되지 않는다. 보안 미흡. 질의어가 없다. 회복기능이 없다. 유지보수 비용이 크다. 무결성 유지가 어려움 프로그래머의 생산성이 낮다. 데이터의 공유가 부족하다. 모델링의 개념이 부족하다. DBMS  장점 중복성과 불일치가 감소. 보다 나은 서비스가 제공. 독립성의 향상으로 유지보수가 좋음 표준화를 시행하기가 용이하다. 보안이 좋다. 무결성이 향상된다. 조직체의 요구사항을 식별할 수 있다. 회복이 가능하다. 공유와 동시 접근이 가능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단점 비용이 비쌈 백업과 회복의 복잡도가 높다. 온라인 접근을 제공으로 비밀과 프라이버시 노출 적절한 제어가 없다면 데이터 품질이 손상됨.

DB 시스템 구성요소 & 시스템 요구사항

이번 Posting에서는 DB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정리해볼 생각입니다. DBS(Database System)는 DB, User(Application), DBMS, 하드웨어로 구성이 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궁금해 하는 것은 DBMS와 DB입니다. DB   DB는 실제로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시스템 카탈로그로 구성됩니다.  시스템 카탈로그는 저장된 데이터 스키마 정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DBMS  DBMS는 간단하게 말해서 DB와 관련된 거의 모든 것들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DBMS는 운영 체제와 밀접한 연관을 갖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요구사항  데이터 독립성  융통성 - 구조 변경이 기존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면 안됨  효율적인 데이터 접근  데이터에 대한 동시 접근  백업과 회복  중복을 줄이거나 제어하여 일관성 유지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보안  쉬운 질의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DB란? 스키마란?

이미지
이번 Posting에서는 DB에 대해서 정리를 하도록하겠습니다. 1. DB  일단 DB란 무엇일까요?? "DB는 조직체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운영 데이터들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모임" 뭐 풀어보자면 응용 시스템 이란 여러가지 요소들이 있겠죠? 웹이라던가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말하는 것이겠죠~  운영 데이터 란 응용 시스템 예로 웹을 생각해보면 여러가지 뿌려줘야할 것이 많은데 그것을 말하는 것이겠죠? 대충 아래와 같은 그림 이겠죠 ㅎㅎㅎㅎ 2. DB 스키마  학교에서 DB 수업을 듣다 보면 DB 스키마, 스키마 이렇게 말하는 정작 제대로 알려주진 않습니다. 자 스키마는 뭘까요?  " 데이터베이스 에서  자료 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 뭔 말이냐...... 간단하게 말하면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내는데, 좀 자세히 말하면  "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과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 해야할 제약조건 " 들을 기술한 것입니다.  이 스키마는 또 외부, 개념, 내부 스키마로 나뉩니다. 아니 그냥 쓰면 되지 왜 나누는 겁니까? 라고 생각하실겁니다. 그 이유는 코딩과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가 코딩을 하기위해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이유를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저희가 기계어로 직접 코딩을 할 수 없는 것과 같이 DB에서도 저희가 이해할 수 있는 스킴과 컴퓨터에 저장되는 스킴이 따로 있기 때문이지요.  아래와 같이 말이죠. 1. 구조에 관해서 이용자가 보았을 때의 논리 구조 2. 컴퓨터가 보았을 때의 물리 구조 3. 전체적인 데이터 구조 외부 스키마   한 마디로 말하면 " 프로그래머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