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 js를 하게된 이유
나는 학교에서 교육 근로를 하고 있다. 그 곳에서는 classic ASP 기반의 웹 동영상 플레이어를 개발하고 있는데, 현재 거의 1년이 넘게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지원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받기 시작하면서 언어를 교체할 때가 됐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사실상 요즘 classic ASP를 잘 사용하지 않을 뿐더러 여러가지 면에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언어이다. 그래서 우리는 과감하게 이 언어를 버리고 새로운 언어를 선택하기로 하였고, 여러가지 토론 과정을 거치면서 Node JS로 결정이 났다.
..사실상 나는 Java 기반의 JSP를 하고 싶었지만, 나의 의견만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것이 맞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나는 예전에 외주 작업을 하면서 Node로 개발을 했던적이 있다. 하지만 그 것이 진짜 수박 겉핥기 식의 공부였다. 왜냐면 단지 사용법만 익혔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작동을 하는지도 모른체 그저 googling을 통해서 웹을 개발해 나갔다. 물론 웹페이지를 개발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어차피 돌아가기만 하면되는 것이니까....
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볼 필요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 내부의 동작도 모른채 개발을 계속 해나간다면 실력도 늘지 않을 뿐더러, 성능을 판단하는 개발자가 될 수 없다고 느꼈다. 언어의 장점을 알면서 생각할 줄 아는 개발자가 되는 것. 이 것이 현재 내 나이 25살 반이 꺾인 나의 목표이다.
다음 Posting 부터는 자세하게 하나하나 node를 파헤쳐 볼 생각이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지원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받기 시작하면서 언어를 교체할 때가 됐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사실상 요즘 classic ASP를 잘 사용하지 않을 뿐더러 여러가지 면에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언어이다. 그래서 우리는 과감하게 이 언어를 버리고 새로운 언어를 선택하기로 하였고, 여러가지 토론 과정을 거치면서 Node JS로 결정이 났다.
..사실상 나는 Java 기반의 JSP를 하고 싶었지만, 나의 의견만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것이 맞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나는 예전에 외주 작업을 하면서 Node로 개발을 했던적이 있다. 하지만 그 것이 진짜 수박 겉핥기 식의 공부였다. 왜냐면 단지 사용법만 익혔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작동을 하는지도 모른체 그저 googling을 통해서 웹을 개발해 나갔다. 물론 웹페이지를 개발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어차피 돌아가기만 하면되는 것이니까....
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볼 필요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 내부의 동작도 모른채 개발을 계속 해나간다면 실력도 늘지 않을 뿐더러, 성능을 판단하는 개발자가 될 수 없다고 느꼈다. 언어의 장점을 알면서 생각할 줄 아는 개발자가 되는 것. 이 것이 현재 내 나이 25살 반이 꺾인 나의 목표이다.
다음 Posting 부터는 자세하게 하나하나 node를 파헤쳐 볼 생각이다.